Sliding Window
Sliding Window 기법
Object Detection 구현의 문제점
저번 노트에서 언급했듯이 기존 CNN 구조를 가지고서는 2개 이상의 객체를 식별해내고 구분해내야되는 object detection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다. “Feature Map이 복잡해는 것이면 아예 이미지를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보면 되지 않겠는가?”
Sliding Window
Sliding Window는 위에서 제시된 의견을 따라 CNN에서 커널이 이미지를 훑어보듯 좌측 상단에서 부터 우측 하단까지 이미지를 잘라본다.

하지만 해당 방법 같은 경우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만약 window 사이즈 보다 이미지 사이즈가 작거나 원하는 객체가 window 사이즈 안에 다 안들어가면 어떻게 할것인가?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의 크기를 달리해서 똑같은 작업을 반복하였다.
Sliding Window의 문제점
위와 같이 일정한 사이즈의 window로 이미지를 자른 다음에 해당 작업을 이미지 사이즈를 달리해서 반복하는 작업은 듣기만 해도 연산량이 엄청난 비효율적인 작업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새로운 방안이 나온 것이 Region Proposal 이라는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객체가 있을만한 구역을 미리 찾아주는 작업을 말한다. 해당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노트에 적어보도록하겠다.